고조파_Harmonics 란?,발생 원리,종류와 특징,미치는 영향,저감 대책

1. 개요

1-1) 고조파란 무엇인가?

우리가 사용하는 전기는 교류(AC, Alternating Current) 형태로 공급되며, 이상적인 전압과 전류 신호는 완벽한 정현파(Sine Wave) 형태여야 합니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다양한 전자기기와 부하(예: 컴퓨터, 형광등, 모터 등)가 전력을 사용하면서 신호가 왜곡됩니다.
이때, 원래 있어야 할 기본 주파수(Fundamental Frequency) 외에도 새로운 주파수 성분이 추가되는데, 이를 고조파_Harmonics라고 합니다.

다시말하면, 고조파란 기본파(기본 주파수의 정현파)에 대한 정수배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의미합니다.
즉, 전력계통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60Hz(또는 50Hz)의 기본 주파수에 대해, 2배(120Hz), 3배(180Hz), 4배(240Hz) 등의 주파수를 갖는 성분이 포함된 전압 및 전류파형을 고조파(Harmonic Wave)라고 한다. 이 때문에 원래의 전기 신호가 왜곡되는 것입니다.

고조파_Harmonics 기본 파형

고조파_Harmonics는 일반적으로 전력전자 소자(반도체 스위칭 소자)를 사용한 장비에서 많이 발생하며, 전력계통의 전압 및 전류를 왜곡시켜 전력품질(Power Quality) 저하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합니다.

2. 고조파_Harmonics가 발생 원리?

2-1) 저항과 비선형 부하의 특성

교류(AC) 회로에서 저항성 부하(순수한 저항)는 직류(DC) 회로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즉, 저항을 통과하는 전류는 저항 양단의 전압에 비례하며, 위상차 없이 동일한 정현파 형태를 유지합니다.
따라서, 저항성 부하가 포함된 회로에서는 고조파_Harmonics가 발생하지 않으며, 입력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깨끗한 정현파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하지만 비선형 부하(예: 스위칭 전력 변환기, 정류기, 전자식 안정기, 변압기 등)를 포함하는 회로에서는 전류가 전압에 비례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전류 파형이 왜곡됩니다.
이러한 경우, 결과적인 전류 파형은 더 이상 순수한 정현파가 아니라, 여러 개의 주파수를 포함하는 복합파형(Complex Waveform)이 됩니다.

2-1-1) 선형 부하(Linear Load)

  • 입력 전압이 정현파라면, 전류도 정현파를 따름
  • 부하의 저항(R), 인덕턴스(L), 커패시턴스(C) 값이 일정하여 비례적인 응답을 보임
  • 예) 저항성 부하(히터, 백열등), 순수한 인덕터(이상적인 변압기), 콘덴서

2-1-2) 비선형 부하(Non-linear Load)

  • 전압과 전류의 관계가 선형적이지 않음 → 즉, 전류 파형이 전압 파형과 동일한 형태가 아님
  • 전류가 특정 순간(예: 전압의 피크)에서만 흐르는 경우 발생
  • 예) 반도체 스위칭 소자를 사용하는 장치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SCR 등)

비선형 부하는 전압은 정현파지만, 전류 파형이 정현파를 따르지 않기 때문에 고조파가 발생합니다.

2-2) 전자기기에서 고조파가 생기는 이유

고조파_Harmonics는 대부분 비선형 부하에서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에서 전류가 비선형적으로 흐를 때, 이로 인해 전압의 파형이 왜곡되고 기본 주파수 외에도 다양한 주파수 성분이 생성됩니다.
이러한 고조파는 전력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시스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주로 다음과 같은 원인들이 고조파_Harmonics를 생성합니다:

  • 비선형 부하: 전기 기기나 장비가 비선형적으로 작동할 때 전류 파형이 왜곡되어 고조파가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전자식 변압기나 스위칭 전원 장치(SMPS)가 이에 해당합니다.
  • 스위칭 동작: 고속으로 전류를 스위칭하는 장치에서 고조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2-1) 스위칭 전원(SMPS, 인버터)

스위칭 전원 공급 장치(SMPS)는 고효율을 위해 전력을 빠르게 스위칭하여 변환하는 장치입니다.
이 과정에서 스위칭 동작이 비선형적이기 때문에 고조파가 발생합니다.
스위칭 전원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고조파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 고속 스위칭: SMPS는 고속으로 스위칭하면서 전류를 갑작스럽게 변화시킵니다.
    이로 인해 기본 주파수 외에도 여러 배수 주파수 성분이 생깁니다.
  • 펄스형 전류: 스위칭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의 형태가 펄스형이기 때문에 고조파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고조파_Harmonics는 전원 시스템의 전압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고조파가 심하면 다른 전자기기나 장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2-2-2) 형광등, LED 조명

형광등과 LED 조명은 전력 변환 장치가 내장되어 있으며, 이들 역시 고조파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형광등은 특히 전력 변환기나 점화기가 내장되어 있어 스위칭 동작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장치는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스위칭 방식을 사용하므로 고조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LED 조명도 마찬가지로, 정류기 회로와 전압 변환기를 사용하여 AC를 DC로 변환하면서 고조파가 생성됩니다.

  • 스위칭 변환기: 형광등이나 LED의 경우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전력을 스위칭하는 변환기를 사용합니다.
    이때 스위칭 주파수가 기본 주파수의 배수로 발생하므로 고조파가 유입됩니다.
  • 정류 회로: AC를 DC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비선형적인 변환이 일어나며, 이로 인해 고조파_Harmonics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2-3) 모터 드라이브, 가전제품

모터 드라이브는 전기 모터를 제어하는 장치로, 보통 AC를 DC로 변환한 뒤 다시 AC로 변환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 과정에서 고조파_Harmonics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터 드라이브 외에도 다음과 같은 가전제품에서 고조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전자식 냉장고, 세탁기 등: 이런 제품들은 대개 전자기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전원 변환기나 제어 회로에서 비선형적인 동작을 하게 되어 고조파가 발생합니다.
  • 전기 모터: 모터가 동작하는 동안 전류의 흐름이 비선형적이어서 고조파_Harmonics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2-4) 변압기, 유도형 부하

변압기와 유도형 부하(예: 인덕터를 포함한 부하)는 주로 자기장 변화로 전력 변환을 합니다.
이러한 부하에서 고조파가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자기 비선형성입니다.
변압기나 인덕터는 전류의 흐름이 갑작스럽게 변할 때 자기적 비선형성을 가지며, 이로 인해 고조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자기 포화: 변압기나 유도형 부하에서 자기 포화가 발생하면, 자기장 변화를 선형적으로 따라가지 못하고 왜곡이 발생합니다.
    이때 전류 파형이 왜곡되어 고조파가 생깁니다.
  • 비선형 자기 회로: 자기 회로의 비선형성으로 인해 전류가 왜곡되며, 이로 인해 고조파가 발생합니다.

정리하면

고조파_Harmonics 발생원리

3. 고조파의 종류와 특징

고조파_Harmonics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본 주파수부터 시작하여 각 고조파의 특징과 위상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3-1) 기본 주파수 (1차 고조파)

기본 주파수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전기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주파수입니다.
예를 들어, 가정용 전력망은 보통 50Hz 또는 60Hz의 주파수를 사용합니다.
이 기본 주파수는 전력망에서 전압과 전류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주파수입니다.

  • 50Hz 전력망에서는 기본 주파수가 50Hz입니다.
  • 60Hz 전력망에서는 기본 주파수가 60Hz입니다.

기본 주파수는 고조파_Harmonics 분석에서 기준이 되며, 그 배수인 고조파들이 전력망에서 발생하게 됩니다.

3-2) 2차 고조파

2차 고조파는 기본 주파수의 2배 주파수를 가진 고조파로, 50Hz 전력망에서 발생하는 2차 고조파는 100Hz입니다.

  • 2차 고조파는 전압의 파형을 더 왜곡시키고, 전력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 이 고조파는 보통 비선형 부하에서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정류기나 스위칭 전원 공급 장치(SMPS) 같은 장치들이 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3-3) 3차 고조파 – 삼중 고조파 (Triplen Harmonics)

3차 고조파_Harmonics는 기본 주파수의 3배인 주파수를 가집니다.
50Hz 전력망에서는 150Hz의 주파수를 가집니다.
“삼중 고조파”라는 이름은 고조파 중에서 3의 배수(3차, 6차, 9차 등)인 고조파를 묶어서 표현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삼중 고조파는 특이하게도 위상이 비슷하거나 동일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전력 시스템에서 주목받습니다.
특히 중성선에서 서로 겹쳐지며 큰 전류를 만들 수 있어, 이를 구분하여 다루는 것이 중요합니다..

  • 3차 고조파는 기본 주파수의 3배로 발생하며, 전압 파형을 크게 왜곡시킵니다.
  • 이 고조파는 위상이 동일하여, 중성선을 통해 전류가 축적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중성선이 과열될 수 있는 위험이 있습니다.
  • 삼중 고조파는 전력 시스템에서 중요한 고조파 중 하나로, 여러 장치에서 발생하는 고조파들 중 매우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3-4) 5차 고조파, 7차 고조파 – 전력 품질 저하의 주범

5차와 7차 고조파_Harmonics는 전력 품질 저하의 주요 원인입니다.
이러한 고조파들은 주로 비선형 부하에서 발생하며, 전압 파형을 왜곡시키고, 전자기기 및 전력 시스템에 악영향을 미칩니다.

  • 5차 고조파는 기본 주파수의 5배인 주파수를 가지며, 250Hz(50Hz 전력망에서)입니다.
  • 7차 고조파는 기본 주파수의 7배인 주파수를 가지며, 350Hz(50Hz 전력망에서)입니다.

이 두 고조파는 특히 변압기, 모터 드라이브, 전력 변환기와 같은 장치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이들 고조파_Harmonics는 전력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고조파 중 중요한 문제를 일으키며, 시스템 효율성을 낮추고 전자기기 고장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3-5) 고조파의 위상 관계

고조파_Harmonics에는 위상 관계가 중요한 특징이 있습니다.
고조파들은 각 주파수마다 위상이 다르게 나타나며, 이 위상 차이가 고조파의 영향을 결정합니다.

고조파는 위상 회전(Phasor Rotation)의 방향에 따라 크게 양(+)의 방향과 음(-)의 방향으로 분류됩니다.
고조파는 세 가지 Sequence로 나뉩니다.

① 양(+)의 순서 고조파 (Positive Sequence Harmonics)
4차, 7차, 10차, …
기본 주파수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정방향, Forward Rotation)
변압기와 전력선의 발열 원인이 됨

② 음(-)의 순서 고조파 (Negative Sequence Harmonics)
2차, 5차, 8차, …
기본 주파수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역방향, Reverse Rotation)
전동기(모터)에서 회전자 자기장을 약화시키고, 토크 감소를 유발

③ 제로(0) 순서 고조파 (Zero Sequence Harmonics, 트리플런스)
3차, 6차, 9차, … (3의 배수)
중성선(Neutral)로 집중되며, 중성선의 전류를 증가시켜 과부하 문제를 일으킴
고조파들이 위상에 따라 서로 간섭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에서의 위상 불균형은 전력 품질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정리하면,

고조파_Harmonics 종류

3-6) 기본파와 고조파의 합

기본 주파수(1차 고조파)와 그 이상의 고조파가 결합하면, 단순한 정현파가 아닌 복잡한 형태의 파형이 만들어집니다.
이 복합 파형의 형태는 고조파의 개수, 진폭(Amplitude), 위상(Phase)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를들어 기본파와 몇 개의 고조파_Harmonics가 합성되는 과정을 설명 드리겠습니다.
(고조파의 진폭과 위상에 따라 실제 파형이 결정됨)

고조파_Harmonics 파형, 복합 파형

① 고조파의 일반 수식

  • 기본파: E=Vmaxsin⁡(2πft)=Vmaxsin⁡(ωt)
  • 2차 고조파: E2=V2(max)sin⁡(2×2πft)=V2(max)sin⁡(2ωt)
  • 3차 고조파: E3=V3(max)sin⁡(3×2πft)=V3(max)sin⁡(3ωt)
  • 4차 고조파: E4=V4(max)sin⁡(4×2πft)=V4(max)sin⁡(4ωt)

복합 파형은 이 모든 고조파가 합쳐져 생성됩니다.

4. 고조파가 미치는 영향

고조파_Harmonics는 전력 시스템 및 다양한 전자기기와 산업 설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큽니다.
고조파가 발생하면 전력 품질이 저하되고, 시스템 효율성이 떨어지며, 심지어 장비가 고장나거나 수명이 단축될 수 있습니다.

4-1) 전력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4-1-1) 변압기 과열

변압기는 고조파_Harmonics에 의해 과열될 수 있습니다.
변압기는 주로 정현파 전압을 처리하도록 설계되었지만, 고조파가 포함된 전압을 받으면 내부 자석 회로가 비선형적으로 반응하게 됩니다.
이때 발생하는 자기적 손실이 열로 변환되어 변압기가 과열됩니다.
변압기가 과열되면 절연체가 손상될 수 있으며, 결국 변압기의 고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주요 원인 : 고조파가 변압기의 철심을 자주 자극하여, 자기 손실(hysteresis loss)이 증가하고, 변압기의 발열이 심해집니다.
  • 결과 : 변압기의 효율이 감소하고, 과열로 인해 장기적으로 수명이 단축됩니다.

4-1-2) 배전망 손실 증가

고조파_Harmonics가 발생하면 전력 손실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고조파는 전압과 전류의 파형을 왜곡시켜 전선에서의 열손실을 증가시킵니다.
특히 고조파 전류는 전선의 저항을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배전망에서의 에너지 손실이 커집니다.

  • 주요 원인: 고조파는 전력선에서 비선형적으로 흐르는 전류를 발생시켜, 전선의 저항에 의한 손실을 증가시킵니다.
  • 결과: 배전망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운영비용이 증가합니다.

4-1-3) 보호 장치 오작동

전력 시스템에서 고조파_Harmonics는 보호 장치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과전류 보호 장치는 정상적인 전류 범위 내에서 작동해야 하지만, 고조파에 의한 비정상적인 전류가 흐르면 장치가 잘못 작동할 수 있습니다.
이는 과부하 보호나 단락 보호 기능에 영향을 미쳐, 시스템의 안전성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 주요 원인: 고조파가 전류를 왜곡시켜, 보호 장치가 비정상적인 동작을 할 수 있게 만듭니다.
  • 결과: 전력 시스템에서 보호 장치가 잘못 작동하면 설비 보호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더 큰 고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4-2) 전자기기와 산업 설비에 미치는 영향

4-2-1) 모터의 비정상적인 발열 및 소음

모터는 고조파_Harmonics의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고조파가 전력 시스템에 존재하면, 모터에서 전류 파형이 왜곡되며 비정상적인 발열과 소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조파에 의한 전류는 모터의 코일에 불규칙한 자속을 유도하고, 이로 인해 비효율적인 에너지 변환이 일어납니다.

  • 주요 원인: 고조파에 의해 모터의 전류가 비정상적으로 변하고, 이는 비정상적인 마찰과 과열을 일으킵니다.
  • 결과: 모터의 수명이 단축되고, 추가적인 유지보수 비용이 발생하며, 소음도 증가하여 작업 환경에 악영향을 미칩니다.

4-2-2) 전력선에서의 전압 왜곡

고조파_Harmonics가 전력선에 포함되면, 전압 파형이 왜곡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전압 불안정이 발생하고, 전력 품질이 저하됩니다.
특히 비선형 부하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는 전압 파형이 왜곡되기 쉬우며, 전력망의 전압 강하나 전압 스파이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주요 원인: 고조파가 전압의 정상적인 파형을 왜곡하고, 전압의 품질을 낮춥니다.
  • 결과: 전압 왜곡은 전자기기나 산업 장비에 불안정한 동작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장비가 고장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4-2-3) 전자기기의 오작동 및 수명 단축

고조파(Harmonics)는 전자기기의 오작동을 일으키고,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고조파가 포함된 전력은 민감한 전자기기에서 전압과 전류의 왜곡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장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심각한 고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통신 장비, 측정 장비 등이 고조파에 매우 민감합니다.

  • 주요 원인: 고조파로 인한 전압과 전류의 왜곡이 장비의 전원 회로에 영향을 미쳐, 오동작을 유발합니다.
  • 결과: 장비의 수명이 단축되고, 정밀한 작업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면,

고조파_Harmonics  미치는 영향

4. 고조파 저감 대책

고조파(Harmonics)를 저감하기 위한 대책은 크게 수동적 대책(Passive Solutions)과 능동적 대책(Active Solutions)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각 방법은 고조파의 발생 원인과 특성에 맞추어 설계되며, 전력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고 장비의 수명을 연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4-1) 수동적 대책 (Passive Solutions)

수동적 대책은 고조파의 발생을 직접적으로 억제하는 대신, 고조파가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는 방법입니다.
주로 필터링 기술을 사용하여 고조파를 제거하거나 감소시킵니다.

4-1-1) 패시브 필터

패시브 필터는 인덕터(L)와 커패시터(C)를 사용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의 고조파를 차단하는 필터입니다.
이 필터는 고조파 주파수와 일치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전력을 흡수하거나 반사시켜 고조파 전류의 흐름을 방해합니다.

  • 원리: 패시브 필터는 주로 저항성 부하에서 발생하는 고조파를 감소시키며, 특정 주파수에서 공진 현상을 유도하여 고조파를 소멸시킵니다. 예를 들어, 5차 고조파를 차단하려면 해당 주파수에서 고효율적으로 동작하는 LC 회로를 설계합니다.
  • 장점: 설계가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입니다. 또한, 안정성이 높고 유지보수가 적습니다.
  • 단점: 특정 고조파만 제거할 수 있어, 다양한 고조파가 동시에 발생하는 환경에서는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4-1-2) 변압기 및 배전망 설계 개선

변압기와 배전망 설계 시 고조파를 저감하는 방법으로는 고조파 저감형 변압기나 배전망의 임피던스 조정 등이 있습니다.

  • 고조파 저감형 변압기: 이 변압기는 부분적인 자화를 조절하거나 자기 손실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고조파의 영향을 감소시킵니다.
    또한, 변압기 설계에서 철심의 특성을 최적화하여 고조파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는 방법도 사용됩니다.
  • 배전망 설계 개선: 고조파를 최소화하기 위해 배전망에서 비선형 부하를 분리하고, 변압기와 회로 보호 장치의 설계를 최적화하여 고조파 전파를 막을 수 있습니다.

4-2) 능동적 대책 (Active Solutions)

능동적 대책은 수동적 방법보다 더 정교하고 동적으로 고조파를 관리하는 방식입니다.
고조파(Harmonics)의 특성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이를 처리하는 시스템을 통해 고조파의 영향을 실시간으로 감소시킵니다.

4-2-1) 액티브 필터(AHF, Active Harmonic Filter)

액티브 필터는 전력 시스템에 흐르는 고조파 전류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이를 반대 방향으로 상쇄시키는 방식입니다.
AHF는 고조파 전류의 위상과 주파수를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위상 반전된 전류를 생성하여 고조파를 제거합니다.

  • 원리: 액티브 필터는 고조파 전류를 분석하여, 이를 반대 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반대 고조파 전류를 생성합니다.
    이렇게 생성된 반대 고조파 전류가 시스템에 유입되는 고조파를 상쇄시켜 고조파 전류를 줄입니다.
  • 장점: 다양한 고조파 주파수에 대응할 수 있어, 효율적인 고조파 저감이 가능합니다.
    또한, 동적으로 작동하여, 부하 변화에 따라 실시간으로 고조파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 단점: 초기 설치 비용이 상대적으로 높고, 시스템이 복잡하여 유지보수가 필요합니다.

4-2-2) PWM 인버터 및 고급 제어 기술 활용

PWM(Pulse Width Modulation) 인버터는 고조파를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PWM 인버터는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할 때, 전압 파형을 사인파 형태에 가까운 직사각형 파형으로 변조하여 고조파 발생을 줄입니다.

  • 원리: PWM 인버터는 출력 전압을 펄스의 폭을 조절하여 조정합니다.
    이를 통해 전압 파형을 정밀하게 제어하고, 고조파를 최소화합니다.
  • 장점: 고효율적이고, 전력 전송 과정에서 고조파를 줄이는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 단점: 고급 제어 기술을 요구하고, 복잡한 설계와 비용이 들 수 있습니다.

4-3) 고조파 표준 및 규제

고조파(Harmonics)를 관리하기 위해 다양한 국제 표준과 규제가 존재하며, 이를 통해 고조파의 수준을 규제하고 제한할 수 있습니다. 주요 표준은 IEEE 519와 IEC 61000-3-2입니다.

4-3-1) IEEE 519

IEEE 519는 전력 시스템의 고조파 제한에 관한 국제 표준으로, 전력 시스템에서 허용 가능한 고조파의 최대 한계를 정의합니다.
이 표준은 특히 산업용 및 상업용 전력 시스템에서 고조파 수준을 관리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 목표: 시스템 내 고조파를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하여 전력 품질을 보장합니다.
  • 주요 규정: 전압 고조파 및 전류 고조파의 최대 허용 기준을 제시하며, 이를 초과할 경우 고조파 저감 대책을 적용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습니다.

3.2 IEC 61000-3-2

IEC 61000-3-2는 전자기기와 가전제품에서 발생하는 고조파에 대한 국제 규격입니다.
이 규격은 가전제품과 소형 전자기기의 고조파 방출을 제한하여, 전력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 목표: 가전제품 및 전자기기의 고조파 방출을 제한하여, 전력 품질을 높이고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줄입니다.
  • 주요 규정: 특정 제품군에 대해 고조파 방출의 한계값을 설정하고, 이를 초과할 경우 해당 제품의 사용을 제한하거나 수정하도록 요구합니다.

정리하면

고조파_Harmonics: 대책

고조파(Harmonics)는 전력 시스템과 전자기기의 안정성을 위협하는 주요 원인이며, 이를 방치할 경우 에너지 손실 증가, 장비 수명 단축, 시스템 장애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패시브 필터 및 액티브 필터 등의 고조파 저감 기술을 적용하고, **고조파 표준(IEEE 519, IEC 61000-3-2)**을 준수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결국, 효과적인 고조파(Harmonics)관리가 곧 에너지 절감과 설비 보호로 이어진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Leave a Comment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