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D 유형별 차이점,HBM,CDM,MM,HIM 비교, 특징 3가지

1. 왜 ESD 유형 분류가 중요할까요? 제품을 설계하다 보면 “정전기 방전(ESD)”이라는 말을 참 많이 듣게 됩니다. 제품이 잘 작동하는 것 같다가도 고객이 손을 대는 순간 갑자기 오작동하거나, 생산라인에서 납땜까지는 멀쩡하던 칩이 최종 테스트에서 망가지는 일이 생깁니다. 그 원인을 따라가다 보면, 결국 정전기 방전(ESD)에 도달하게 됩니다.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중요한 질문이 생깁니다.“도대체 어떤 ESD를 기준으로 … 더 읽기

정전기 방전_ESD란 무엇인가?,발생 원리,ESD 위험, 재료에 따른 특성, EMC와 관계

1. ESD의 정의와 발생 원리 정전기 방전_ESD은 아주 간단히 말하면,한쪽에 몰려 있던 정전기가 빠르게 방전되며 전류가 흐르는 현상입니다. 좀 더 풀어보면 이렇습니다. 정전기란 전기가 흐르지 않고 머물러 있는 상태입니다. 양전하나 음전하가 어느 한쪽에 쌓여 있다가, 다른 물체를 만나면서 갑자기 방전되면 순간적으로 큰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이게 바로 정전기 방전_ESD이고, 문제는 이 순간의 전류가 전자부품에는 매우 … 더 읽기

노이즈 필터 종류와 원리,Common Mode Choke,전원라인 필터,3단자 Cap

1. 노이즈 필터란 무엇인가? 노이즈 필터 종류와 원리를 이해하려면 먼저 회로에서 말하는 “노이즈(noise)”가 뭔지부터 알아야 합니다. 노이즈란 우리가 의도하지 않은, 불필요한 전기적 신호를 뜻합니다. 예를 들어 MCU나 FPGA 같은 디지털 칩에서 발생하는 클럭 스위칭 노이즈, 전원에서 생기는 리플,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라디오 주파수(RF 간섭) 같은 것들이 전형적인 노이즈입니다. 이런 노이즈는 그냥 귀찮은 게 아니라, 실제로는 신호의 … 더 읽기

접지 노이즈, 노이즈 종류, AGND와 DGND, 전류 귀환 경로

1. 접지(Ground)란 무엇인가? 회로에서 전류는 무조건 ‘돌아가는 길’이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전원에서 IC로 흐른 전류는 다시 전원 쪽으로 되돌아가야만 합니다. 이때 그 되돌아가는 경로가 바로 접지(Ground)입니다. 전류 입장에서 보면, 공급이 시작되는 (+V)보다 귀환 경로인 GND가 더 중요합니다.접지가 끊기면? 회로는 멈추고, 이상한 노이즈가 생기며, 오동작하거나 심지어 망가질 수도 있습니다. 이런 문제의 대표적인 예가 바로 접지 … 더 읽기

방사 노이즈 원인, DM과 CM전류,디지털 방사, 노이즈 대책 6가지와 종류

1. 개요 방사 노이즈 원인은 전자 회로 설계에서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중요한 주제입니다.왜냐하면 노이즈는 단순히 신호를 흐리게 하는 걸 넘어, 통신 오류, 오작동, 리셋, 심한 경우 인증 불합격까지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1-1) 전도 노이즈 vs 방사 노이즈의 차이 노이즈는 회로를 타고 들어오거나 나가기도 하고, 공기 중으로 퍼지기도 합니다. 이 두 가지를 각각 전도 … 더 읽기

error: Content is protected !!